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깃(git) 시작하기 6. 과거 버전으로 돌아가기 (git reset) 버전관리의 장점 중 하나인, 과거의 버전으로 돌아가는 방법을 알아보자. https://opentutorials.org/course/2708/15210 git reset 엄밀히 말하면 commit을 취소하는 방법이다. commit을 과거로 돌리게 되면 돌린 후의 버전은 사라지게 되니 주의하자!백업해서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하도록 하자. 하려는 것 'git log'를 통해 만들어진 버전들을 보도록 하자. 여기서 v.4, v.3을 삭제하고 이전 버전인 v.2을 최신 버전으로 해보도록하자.(v.2의 id : 5f237.....) git reset 버전id --hard 최신상태로 되돌리고 싶은 버전의 id를 복사한다. copy : Ctrl + insertpaste : Shift + insert 'git re..
깃(git) 시작하기 5. 버전 간의 차이점 확인하기 (git log -p/ git diff ) 자! 이제까지 버전을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 '버전' 관리를 통해 좋은 점(효용) 2가지로는 1. 이전 버전과의 차이점 / 과거 어떤 시점의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2.이 전의 버전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렇게 있다. 그러면 우선 이전 버전과의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하자. git log git log -p 로그에서 출력되는 버전 간 의 차이점 출력 git diff 버전a'ID'..버전b'ID' 버전1과 버전2의 차이를 볼 수 있다. 'git log'를 통해 각 버전의 ID를 알 수 있다.'git diff id1..id2'를 통해 둘의 차이를 알 수 있다. git diff 파일의 바뀐 점을 확인할 수 있다.commit하기 전, 바뀐 점을 점검 할 수 있다. f1.txt의 내용 변화 : f1.txt..
깃(git) 시작하기 4. stage area 이해하기 (add를 통한 commit 대기상태 ) 깃은버전관리할 파일을 add를 통해 'stage area'란 곳에 올리게 되고, commit을 통해 버전에 포함시킨다.이 stage area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현재 상황 (1~3번까지의 상황) f1.txt 파일을 v.1이란 버전으로 관리 하고 있다.f1.txt 파일내용 : f1.txt ver.1 복습하기 f2.txt를 만들어 add 후 commit으로 새 버전을 만들어 보자. 위처럼 f2.txt를 만들고 명령어 'git status'를 쳐보면 Untracked files : f2.txt 추적이 안되는 파일 f2.txt를 확인 할 수 있다. 'git add f2.txt'로 git에 추가한다. 'git add f2.txt'f2.txt 파일을 등록 후, 'git status'를 입력해 보면 새롭게 등록된..
깃(git) 시작하기 3. 버전 만들기 (git config / git commit) 이제는 현재 깃의 상태를 '버전'으로 저장하는 것을 알아보자. 파일의 변화, 소스의 변화 등, '어떤 작업이 완결된 상태', '의미있는 상태 변화'를 '버전'으로 해서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유저 등록하기 '버전'을 만들기 전, 버전을 만드는 '나'(유저)의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자.유저 등록은 딱 한 번만 하면 된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아이디''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주소' 이런식으로 버전을 등록하는 자신의 아이디, 이메일 주소를 등록할 수 있다.'버전'을 작성한 유저의 정보를 알 수 있다. 2. git commit git commit 을 통해 현재 버전정보를 담을 수 있는 '버전 메시지'를 작성 할 수 있다. ..
깃(git) 시작하기 2. 관리 파일 확인, 등록하기 (git status, git add) 새로운 파일을 git의 관리대상으로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참고 : 생활코딩 https://opentutorials.org/course/2708/15172 1. 파일 생성하기 우선, 커맨드창을 이용하여 파일을 생성해보자. 에디터 'vim' 이용하여 파일을 생성해 보자. vim을 이용해서 f1.txt 파일을 생성, 선택 후 내용을 입력해보자. 'vim f1.txt'vim으로 f1.txt를 생성한다. (파일이 있다면 파일을 연다.) vim 화면 'i' insert모드로 바꿔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한다. 예제로 'f1.txt ver.1' 을 입력해 본다. 'esc' 키로 입력모드를 해제한다. ':wq'write + quit 저장 후 vim을 종료한다. 이렇게 vim을 종료하게 된다. 'ls -..
웹 개발 면접대비 - 기초내용 정리 http://goddaehee.tistory.com/120?category=281064
깃(git) 환경구축 - Sublime Text와 Git 연동하기 서브라임텍스트 (Sublime Text)강추하는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 편집 툴.html, xml, css 등 텍스트 기반 프로그래밍을 간편히 다룰 수 있는 에디터이다.나는 이클립스도 서브라임텍스트 색으로 바꿔 사용하고있다. 설치하러 가기: http://www.sublimetext.com/ 먼저, 플러그인 설치를 도와주는 Package Control plug-in을 설치한다. Package Control plug-in 설치 설치하러 가기:https://sublime.wbond.net/installation 자신의 버전에 맞는 코드를 복사해 온다. (나는 서브라임텍스트3이므로 3탭의 소스를 복사) 서브라임텍스트에서 콘솔창을 연다.( ctrl+` 혹은 메뉴바의 View > Show Console을 클릭) 콘..
깃(git) 시작하기 1. 저장소 만들기 (git init) : 버전관리 할 프로젝트 만들기 깃으로 버전관리할 새로운 프로그래밍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지정/생성해보자. 이 시작부터 버전 관리 시스템 '깃'의 관리를 시작할 수 있는데, '깃'으로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생성할 수 있고, 이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저장소를 만들 수도 있다. (트리소스를 이용해서 gui환경으로 만들면 더욱 편하게 만들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Git bash를 이용해 명령어로 진행하겠다.) 저장소(Repository) 만들기 Git bash에서 명령어 'git'을 입력하면 여러 명령어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데, 시작하는 명령어 clone과 init을 볼 수 있다. start a working area (see also: git help tutorial) clone Clone a repository into a new direct..